오늘은 가족 중에 치매를 앓고 계신 분들이 계신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와 요양시설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치매 진단과 치료 과정
1. 보건소 치매센터 방문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보건소 치매센터에 방문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무료로 제공되는 K-MMSE 치매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 점수가 낮게 나오면, 보건소 지정병원으로 가서 무료로 뇌 CT를 촬영하게 됩니다. 뇌 CT에 하얀 점이 나타나면 치매로 판정되며, 이 절차를 거친 후 치매약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절차를 마친 후에는 치매약값 지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2. 병원 방문
코로나19로 인해 보건소 방문이 어려운 경우, 종합병원의 신경과나 신경외과를 방문하여 유료로 치매검사를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검사 후 뇌 CT를 통해 치매 판정을 받으면, 진단서를 가지고 보건소에 방문하여 치매약값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장기요양급여 신청
치매 진단을 받은 후 다음으로 해야 할 일은 장기요양급여를 신청하는 것입니다. 장기요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장기요양급여 신청은 가까운 건강보험공단에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1577-1000)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후 공단 직원이 방문하여 여러 가지 질문을 하게 되는데, 이때 치매 진단서를 미리 준비해 두시면 좋습니다.
요양 시설 선택
치매 등급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요양 시설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방문요양(재가센터)
치매 초기라서 집에서 가족과 함께 돌볼 수 있는 경우, 방문요양센터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가 집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가족들이 자유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비용도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2. 주간보호
주간보호는 보호자가 일 때문에 집을 비우는 경우에 많이 활용됩니다. 유치원처럼 아침에 어르신을 모시고 가서 저녁에 집으로 모셔오는 방식입니다. 치매 초기 어르신들이 다른 어르신들과 함께 어울리며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3. 요양원
치매 중기 이상이 되면 요양원 입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요양원에서는 어르신의 상태에 따라 한 달 이용 금액이 다르며, 다양한 프로그램과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요양등급이 없을 때
치매어르신이 요양등급이 없을 때는 요양병원이나 정신병원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은 시설마다 가격이 다르며,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좋은 요양원을 찾는 방법
좋은 요양원을 찾기 위해 고려해야 할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립니다.
이 정보가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주위 분들에게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