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024년 8월 둘째 주에 주목받은 주요 자산과 ETF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매주 카카오페이증권 ‘무쓸투’에서는 가격 변동폭이 큰 자산들을 모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에는 어떤 자산들이 눈길을 끌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자산의 주간 수익률
30개의 주요 자산군을 선별해 그중 지난주 수익률이 가장 높은 3개 자산과 가장 낮은 3개 자산을 선정했습니다. 각 자산에 관련된 주요 이슈를 정리하고, 해당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ETF도 함께 소개해 드립니다.
상위 Top3 자산
하위 Top3 자산
8월 둘째 주에는 30개 자산 중 13개 자산이 상승하고, 17개 자산이 하락했습니다. 본 분석은 5영업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앱의 종목 상세 1주일 수익률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라틴 아메리카 상승 이유
라틴 아메리카는 지난주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자산으로, S&P 라틴 아메리카 40 지수는 8월 9일 기준으로 4915.06pt를 기록하며 한 주 동안 6.2% 상승했습니다. 이 지수는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 경제 국가들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국가로는 브라질(60%), 멕시코(26%), 칠레(6%) 등이 있습니다. 이 지수에는 주로 원자재, 금융, 소비재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상승 배경: 브라질 금융주들의 강세
라틴 아메리카 지수의 상승 원인은 브라질 금융주들의 강세에 있습니다. 브라질 최대 핀테크 기업 누 홀딩스(NU)는 주가가 한 주 동안 14% 상승했으며, 브라질 1위 은행 이타우 우니방쿠는 9%, 3위 은행인 방쿠 브라데스쿠는 무려 21% 상승했습니다.
브라질 금리 인상 시사
이러한 금융주들의 상승 배경에는 브라질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시사가 있습니다. 지난 7월 브라질 중앙은행은 기준 금리를 10.5%로 동결했으나, 최근 공개된 회의 의사록에서는 물가가 안정되지 않을 경우 금리를 다시 올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브라질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물가 상승률이 12%까지 치솟자 기준 금리를 13.75%까지 인상했으며, 이후 물가 안정세로 인해 금리 인하를 시작했지만, 최근 물가 상승 조짐이 다시 나타나 금리 인상을 재고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현재 상황은 브라질에서 물가 안정을 이루는 것이 여전히 어렵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미국 역시 최근 물가 상승률이 안정되면서 9월부터 금리 인하를 시작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브라질의 상황은 미국 연준이 금리 인하를 더 신중하게 검토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들의 경기 침체 우려도 여전한 상황에서, 글로벌 경기가 악화된다면 원자재와 에너지 수출에 의존하는 라틴 아메리카 증시에도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 증시 하락 이유
지난주 가장 큰 하락을 기록한 자산은 한국이었습니다. KOSPI 200 지수는 8월 9일 기준으로 353.43pt로 마감하며 한 주 동안 3.7% 하락했습니다.
하락 배경: 미국 실업률과 글로벌 경기 우려
미국의 7월 실업률이 예상보다 높게 발표되면서, 전 세계 증시가 하락세를 보였고, 경기 민감도가 높은 반도체, 자동차, 2차전지 기업들이 많은 한국 증시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한 주 동안 주가가 6% 하락했으며, 5일에는 하루 만에 주가가 10% 이상 급락했습니다. 삼성전자의 주가가 하루 10% 이상 하락한 것은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처음입니다.
앞으로의 전망
삼성전자 주가 급락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국 경기 침체 우려와 인공지능(AI) 수익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기업 가치 자체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 HBM(고대역폭 메모리) 공급 가능성을 제외하더라도, 범용 D램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회복이 예상되며, 하반기 삼성전자의 실적을 견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삼성전자의 주가가 다시 상승해 한국 증시를 이끌 수 있을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무리: 2024년 8월 2주 주요 자산 리뷰
이번 주는 라틴 아메리카와 브라질 금융주의 강세, 한국 증시와 삼성전자의 하락 등 다양한 이슈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시장 변화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각국의 금리 정책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잘 보여줍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과 적절한 투자 전략 수립이 중요할 것입니다.
이상으로 2024년 8월 둘째 주 주요 자산과 ETF 분석을 마칩니다. 다음 주에도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널리 공유 부탁드립니다. 큰 힘이 됩니다😊